글을 쓰는 사람으로 남고 싶어서 – AI 챗봇 기획자의 첫 기록

글을 쓰는 사람으로 남고 싶어서

다시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.
마지막으로 블로그에 무언가를 올린 게 벌써 4년 전쯤이더군요.
그 사이 많은 게 바뀌었습니다.
일도, 관심사도, 그리고 글을 대하는 마음도요.

예전엔 좋은 내용을 찾아 퍼나르고, 예쁘게 다듬는 데에 집중했습니다.
트래픽도 생기고, 관심도 받았지만…
어딘가 허전했습니다.
‘나만의 콘텐츠를 써보고 싶다’는 마음이 쌓였고,
그 결심의 기한은 어느새 한참 지나버렸네요.

잘하고 싶은 마음,
좀 더 멋져 보이고 싶은 마음에
계속 미루고만 있었습니다.

그러다 문득,
“일단 시작이 중요하다”는 말,
“완벽보다는 완료”라는 말에 다시 힘을 얻어
그냥, 한번 써보기로 했습니다.


‘챗봇은 왜 사람 같지 않을까?’

업무에서 챗봇을 기획하다 보면 종종 드는 생각입니다.
사람이 아니니까, 당연한 일이죠.
사람을 흉내 내기 위해 애써 학습하고 있는 거니까요.

하지만 여전히,
질문을 하는 ‘의도’를 정확히 읽어내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.
질문 자체는 간단해 보여도, 그 질문이 왜 나왔는지
AI가 한 번에 짚어내기 쉽지 않습니다.

예를 들어 이런 질문들.

  • “시승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?”
  • “우리 동네 서비스 센터는 어디 있어요?”
  • “전기차 보조금은 아직도 나오나요?”

하나하나는 단순한 질문처럼 보이지만,
그 안에는 ‘구매를 고민 중’이라는 맥락이 숨어 있습니다.
그 힌트를 잘 캐치해서,
다음 행동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것.
그게 바로 좋은 챗봇, 사람 같은 챗봇의 시작점이 아닐까요?


이 글을 쓰는 이유

요즘 RAG와 LLM이 결합된 AI 챗봇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
마음속에서 여러 감정이 스쳤습니다.
이전엔 “왜 사람 같지 않을까”를 고민했다면,
이제는 “언젠가 정말 사람을 뛰어넘을지도 모르겠다”는 두려움이 선명해졌습니다.

그래서 오히려,
더 깊이 고민하고, 더 진지하게 접근해보고 싶어졌습니다.
그리고 그 과정을 남기고 싶어졌습니다.

단지 결과물이 아니라,
어떻게 생각했고, 어떻게 접근했는지를요.

GPT 같은 도구가 발달할수록
“글을 쓸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”은
더 뚜렷하게 나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.

그 중에서 저는 ‘쓰는 사람’으로 남고 싶습니다.
앞으로 챗봇 기획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흐름과 배운 점들을 시리즈로 기록해보려 합니다.
그 과정에서 기술 뿐 아니라, 사람과 도구의 균형을 계속 탐색해보려 합니다.